대한민국 디스플레이 산업이 '초격차 기술'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주도권을 더욱 확고히 할 것을 다짐했다. 지난 9월 26일, 산업통상자원부 및 국내 주요 디스플레이 기업 관계자들은 한자리에 모여 '제16회 디스플레이의 날' 기념식을 개최했고 그간의 성과를 축하하고 미래 비전을 공유하는 뜻깊은 시간이 마련했다.

'디스플레이의 날'은 2006년 10월, 국내 디스플레이 패널 수출액이 처음으로 100억 달러를 돌파한 것을 기념하여 2010년부터 시작된 행사이다. 올해 기념식에는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동진쎄미켐 등 330여 명의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이날 행사에서는 디스플레이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한 공로자 34명에게 정부 포상 및 민간 포상이 수여되었다. 특히, 대통령 표창은 OLED 소재 국산화에 성공하며 기술 자립에 기여한 솔루스첨단소재의 김태형 사장이 수상했다. 또한, 국무총리 표창은 세계 최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생산 시스템을 구축한 삼성디스플레이의 최근섭 상무와 제조 장비 수출 확대에 기여한 에스에프에이의 이철성 전무가 각각 받았다.

정부와 업계는 '초격차 기술' 확보가 미래 성장 동력의 핵심임을 강조했다. 이승렬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은 "OLED 초격차는 여기 계신 모든 분의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며, 앞으로도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행사에 참석한 주요 기업 대표들도 각사의 경쟁력과 미래 전망에 대해 밝혔습니다. 정철동 LG디스플레이 사장은 하반기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를 내비쳤으며, 이청 삼성디스플레이 사장은 공정한 경쟁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삼성전자는 최근 BOE와의 소송에서 승소하며 기술 보호의 중요성을 다시금 확인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소송 승리로 BOE의 미국 시장 내 OLED 패널 수출이 약 15년간 금지되는 성과를 거뒀다.

미래 기술인 8.6세대 OLED 양산 계획도 구체화되고 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 이청 사장은 8.6세대 제품이 내년 2분기에서 3분기 중 양산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제품은 기존 6세대 패널보다 유리 원판 크기가 약 2배 커서 생산 효율성이 뛰어나다. 또한, 올해 4분기 실적에 대해서는 주요 고객사의 신제품 출시를 원인으로 긍정적으로 전망했습니다.

대한민국 디스플레이 산업은 기술 혁신을 통해 난관을 극복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유지해 나가고 있다. 다양한 디스플레이 제품들의 생산이나 수리 및 관련 장비의 구매는 전국 어디서나 1577-1377로 문의가능하고 명정보기술 홈페이지(www.myung.co.kr)를 참고하여 본점이나 전국 8개 지점을 방문하여 상담하는 것도 가능하다.

(주)명정보기술 여정현 부장